본문 바로가기
2025 양반/IB 교육과정 수업

[HWOO/LOI 1] 민주주의 발전 과정 탐색하고 민주주의 신문 만들기

by 멀티쌤T 2025. 4. 20.
반응형
HWOO(우리 자신을 조직하는 방법) / LOI 1(민주주의 발전과 과정) / 명시된 개념(인과 관계)

 

📖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 과정 탐색하고 민주주의 역사 신문 만들기 📖

수업 목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탐색하고 민주주의 역사 신문을 만들어 봅시다.
활동: 1) 대한민국 민주주의 관련된 사진으로 S-T-W 탐색하기
         2) 사색 모자 활동하기
         3) 민주주의 역사 신문에 넣을 내용 조사하기
         4) 민주주의 역사 신문 만들기
         5) 갤러리 워크하기
         6) 민주주의 개념 정의하기
활동 1. 대한민국 민주주의 관련된 사진으로 S-T-W 탐색하기

 4.19 혁명, 5월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으로 세 가지 S-T-W 활동을 실시했다. 이미 역사에 대해 잘 아는 학생들이 있어서, 사건의 제목은 지우고 활동을 실시하고, Wonder 단계 전에 사건명을 공개했다.

https://www.canva.com/design/DAGkANmRrMg/u5pM7fG2JoHYdVryC3ejGA/view?utm_content=DAGkANmRrMg&utm_campaign=designshare&utm_medium=link&utm_source=publishsharelink&mode=preview

IB 민주주의 발전 STW.pdf
2.37MB

 

활동 2. 사색 모자 활동하기

 사색 모자 활동은 모자에 쓴 역할에 따라 역할극을 해보는 활동이다. 원래는 육색 모자 활동으로 더 유명하다.

https://if-blog.tistory.com/7162 

 

입장 바꿔 생각해보자! 육색 사고 모자 활동

​ 입장 바꿔 생각해보자! 육색 사고 모자 활동 Six Color Thinking Hats ©creocomics 우리는 학생들의 두뇌를 깨워 창의성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다양한 생

if-blog.tistory.com

 입장을 바꿔 생각해볼 수 있는 활동으로, 토의/토론 활동에 많이 쓰이는 교육 기법이다.

 학생(분홍색), 학부모(노란색), 경찰(파란색), 기자(초록색)의 역할을 4가지 색깔 모자에 각각 정해두었다. 4.19 혁명, 5월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중 한 사건을 정하고 모자를 돌려가며 한 마디씩 해보았다.

 예를 들어, 경찰의 모자를 쓴 경우 "나도 사람들을 폭력적으로 대하고 싶지 않은데, 어떻게 해야 하지?" 학부모의 모자를 쓴 경우 "내 아이가 시위에 참여할까봐 걱정돼. 그렇지만 민주주의를 위해 나도 참여하고 싶어."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학생들이 시민들을 공격한 군인들은 모두 나쁜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본 활동을 통해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에 제시된 당시 초등학생의 시 무서웠지만 시위에 동참했을 학생들의 마음도 생각해보았다.


활동 3. 민주주의 역사 신문에 넣을 내용 조사하기

 학생들에게 6학년 1학기 국어 '2. 이야기를 간추려요' 부분에서 배운 사건을 요약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리고 기사를 읽었던 경험을 이용해, 기사에 꼭 들어가야 하는 내용이 육하원칙이라는 것을 먼저 전체 토의를 이야기 나눴다. 그리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삭제하고, 나머지 부분을 요약하도록 했다. 기사에 사진이나 가상 인물 인터뷰를 넣는 게 어떨지 이야기를 나눴다.

 생성형 AI 조사를 하기 전 먼저, 학생들이 스스로 사용하고 싶은 사진을 탐색하고, 교과서 내용을 먼저 탐구하면서 사건을 정리했다.

 우리 학급은 다섯 모둠이어서 다음 5개의 사건으로 모둠을 구성했다.

 [신문에서 다룰 역사적 사건 5개]
 1) 3.15 부정 선거
 2) 4. 19 혁명(김주열 학생의 죽음)
 3) 5월 민주화운동
 4) 6월 민주 항쟁(박종철 학생의 죽음)
 5) 6. 29 민주화 선언  

 

매직스쿨 AI(신문 기사 내용 쓰기)

 위 내용은 매직스쿨 AI에 썼던 프롬프트이고, '다시 쓰기 조건'에 있는 것은 아이들에게 보이지 않게 처리했다.

6.29 민주화 선언

 사건 명만 적으면 왼쪽 화면처럼 나오고, 아이들이 AI와 소통을 통해 더 구체화 한 후 내용을 참고했다.

와우 아이디어스(민주주의의 과정 신문 기사 내용 정리하고 첨부 사진 찾기)

 

 

활동 4. 민주주의 역사 신문 만들기

 교과서와 인터넷으로 스스로 찾은 자료, 매직스쿨 AI에서 찾은 자료르 바탕으로 신문을 완성했다.

 

https://www.canva.com/design/DAGlDNCNpRU/BdsNfaQqQ9Yp-GvHxpSksw/view?utm_content=DAGlDNCNpRU&utm_campaign=designshare&utm_medium=link&utm_source=publishsharelink&mode=preview

캔바 신문 기사 양식

 기사 양식의 뒷편이 영어 기사처럼 되어 있어서 양식이 조금 아쉬웠다.


 

활동 5. 갤러리 워크

 기사를 크게 출력해 갤러리 워크를 진행했다. 와우 아이디어스에 올려둔 기사에 댓글을 달게 했다.

 

활동 6. 민주주의 개념 정의하기

 모둠별로 민주주의의 사례, 비사례, 특성에 대해 정의를 내렸고 정의는 단어들을 각자/모둠별로 떠올려 보도록 했다. 그 후 다함께 학급의 정의를 내렸다.

 

민주주의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의견을 내고 공평하게 경청해서 우리나라에 반영하는 것

 

 아직 개념 정의를 직접 내리는 것은 아이들 입장에서 어려울 것 같아 학급이 다같이 단어를 수정하고, 연결 단어를 넣어가면서 정의를 내렸다.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스스로 조사하고, 설명하는 대신 기사를 읽어보게 해 그 지식을 나눌 수 있다는 점이 잘 된 것 같다.

 교과서 상에는 다음 학습 소단원이, 민주주의를 이용한 문제 해결하기 후 민주주의의 국가 기관인데, 민주주의 국가 기관을 먼저 배울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